전산세무회계/5월

[5/29~5/30] 자산 기초 정리

Makeii 2018. 5. 29. 20:50

자산

-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화채권

- 재화 : 돈의 가치가 있는 것

- 채권 : 받을 수 있는 권리

- 자산에는 유동자산비유동자산이 있음(유동성이 큰 순으로 나열)

- 유동자산 : 단기자산(1년 이내)

> 당좌자산

> 재고자산

- 비유동자산(고정자산) : 장기자산(1년 이후)

> 투자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기타비유동자산


자산의 계정과목(계정과목 = 사람으로 치면 "이름")

1. 현금(코드 101) : 한국 은행에서 발행하는 지폐, 주화

+ 통화대용증권(회계상에서 현금으로 친다.)

① 자기앞 수표

② 가계 수표

③ 송금 수표

④ 우편환증서

⑤ 배당금 영수증(주식 배당)

⑥ 동점 발행 당좌 수표(타인 발행 수표)

위의 6가지는 재무제표(전표) 작성 시 "현금"으로 작성한다.

2. 예금에 속하는 계정과목

- 보통예금(코드 103), 저축예금 : 요구불예금(예금자가 언제든지 찾아 쓸 수 있는 예금)

- 정기예금, 정기적금(코드 104)

- 당좌예금(코드 102) : 수표를 발행할 목적으로 은행에 예치한 돈

3. 재고자산에 속하는 계정과목 : 판매 or 제조를 목적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 제품, 원재료, 재공품 등

- 상품 : 도소매직종이 취급하는 물건(제조 X)

- 제품 : 제조기업이 제조하는 물건(구매 X)

- 원재료 :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

- 재공품 : 미완성 제품

4. 유형자산에 속하는 계정과목 : 영업상 사용 목적이 있으며, 물리적 실체가 있고, 1년을 초과하여 사용이 예상되는 자산

- 건물(코드 202)

- 비품 : 컴퓨터, 에어컨, 복사기 등

- 토지 : 땅

- 기계장치 : 공장에서 사용하는 기계

- 차량운반구 : 승용차, 화물트럭, 승합차, 오토바이

- 구축물 : 교량, 터널 등

- 건설중인자산 : 미완공 건물

- 건물, 토지의 경우 영업상 사용 목적이 아니라 투자 목적일 경우 투자부동산(투자자산)이 사용

(※5번부터는 유동자산의 당좌자산에 속하는 계정과목)

5. 외상매출금 : 상품 or 제품팔고(매출) 외상으로 함

6. 받을 어음 : 상품 or 제품팔고(매출) 어음으로 받음

   (※5, 6번은 매출채권)

7. 미수금 : 상품 or 제품아닌 것팔고 외상이나 어음으로 받음

8. 선급금 : 계약금(착수금)으로 미리 지급한 것

9. 단기 대여금 : 빌려준 돈(1년 이내에 회수할 목적)

   ↔ 장기 대여금 : 비유동자산의 투자자산(1년 이후에 회수할 목적)

10. 단기 매매 증권 : 단기간의 이익을 목적으로 주식, 사채(=회사채), 국공채를 사거나 팔았을 때

11. 소모품 : 사무용품, 문구류 등


당좌예금의 필요성

- 회사 자산의 유동성 향상을 위해

  (2~3개 은행과 당좌 차월 계약을 맺을 경우 기업이 융통할 수 있는 자산이 늘어남)

- 당좌 차월 계약의 경우 일방적 파기가 가능

- 기업은 주거래은행과 당좌 거래 계약을 맺어 당좌 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계좌 개설 시 은행은 기업에게 당좌수표장(=백지수표)를 지급한다. 거래처 A는 기업에게서 받은 수표를 은행에 제출하면 기업의 당좌 계좌에 수표 금액 이상의 돈이 있을 경우 수표 금액만큼의 돈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당좌 계좌에 돈이 없을 경우 은행은 거래처 A에게 돈을 지급하지 않는다.

- 기업은 자산의 일부를 담보로 삼아 은행과 당좌 차월 계약(쉽게 생각하면 마이너스 통장)을 맺을 수 있다. 이 계약이 체결될 경우 기업의 당좌 계좌에 돈이 없어도 지정 한도까지는 은행이 거래처 A에게 수표 금액을 지급하기 때문에 회사 자산을 유동성 있게 융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