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자산
- 판매 혹은 제조를 목적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원재료, 상품, 제품, 재공품, 반제품, 저장품 등)
- (기초상품재고액 + 순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 상품 매출 원가
- 기초상품재고액 + 순매입액 = 판매가능 상품액
- 순 매출액 - 매출 원가 = 매출 총 이익
- 매출 총 이익 - 판매비와관리비 = 영업이익
- 총 매출액 - 매출 에누리 및 환입, 매출할인 = 순 매출액
- 총 매입액 - 매입 에누리 및 환출, 매입할인 = 순 매입액
1. 재고자산 취득 시
- 부대비용(수수료, 운반비 등)은 원가에 포함
2. 재고자산 매출 시
- 매출할 때 발생하는 운반하는 비용은 운반비로 비용 처리
3. 재고자산 기부 시
- 기부한 재고자산을 대변에 작성 시 반드시 원가로 작성
- 상품, 제품, 원재료가 대변에 있을 때(매출이 아닐 경우) 반드시 "적요8. 타계정으로 대체"를 추가
> "적요8. 타계정으로 대체"를 추가할 경우 대변의 해당 재고자산 금액만큼 순 매입액의 금액에서 차감
4. 기말재고자산 포함 여부
① 선적지/도착지 인도 기준
- 선적지 인도 기준 : 운송 중인 재고자산은 기말재고자산에 포함 O
- 도착지 인도 기준 : 운송 중인 재고자산은 기말재고자산에 포함 X
- 매입자와 매출자는 반대입장
> 선적지 기준 매입자 - 재고자산 포함 O(증가)
> 선적지 기준 매출자 - 재고자산 포함 X(감소)
② 위탁 판매(적송품) : 기말재고자산에 포함 O(판매 후에는 재고자산 감소)
- 적송품 : 수탁자에게 맡긴 재고자산
- 판매 전까지는 나의 재고자산
- 수탁자가 판매한 뒤 위탁자에게 판매통지를하면 수익의 발생을 인지하게 된다.(수익의 인지 시점)
③ 시송품(시용품) : 기말재고자산에 포함 O
- 구매자가 구매의사를 표시한 날 전까지 기말재고자산에 포함 O
5. 기말재고자산의 수량, 단가 결정 방법 : 수량 * 단가 = 기말재고
① 수량 결정 방법
1) 계속기록법(장부) : 재고자산의 입고와 출고를 계속적으로 기록
2) 실지(실제)재고조사법 : 실제 창고의 재고를 파악하여 기록
- 감모수량 : 장부의 재고자산 수량과 실제의 재고자산 수량의 차이
- 감모수량 * 장부단가(장부에 적혀있는 가격) = 재고자산 감모손실(영업외비용) : 장부 수량과 실제 수량의 차이
- 재고자산 감모손실의 정상적 발생 : 매출원가에 포함
- 재고자산 감모손실의 비정상적 발생 : 영업외비용으로 처리
② 단가 결정 방법
1) 선입선출법 : 먼저 입고된 것을 먼저 출고하는 방법
> 장점 : 물량 흐름이 가장 좋다.
> 단점 : 수익, 비용의 대응이 적절하지 않다.(매출액, 매출원가의 차이가 큼)→당기순이익 과대
2) 후입선출법 : 나중에 입고된 것을 먼저 출고하는 방법
> 장점 : 수익, 비용의 대응이 적절하다.(매출액, 매출원가의 차이가 적음)→당기순이익 적절
> 단점 : 물량 흐름이 가장 나쁘다.
3) 이동평균법 : 금액 ÷ 수량 = 평균단가
> 매입할 때마다 단가를 재계산 : 매출은 X
4) 총평균법 : 총 수입금액 ÷ 총 수입수량 = 총 평균단가
5) 매출가격환원법
6) 개별법 : 고가의 재고자산의 매출원가 계산 시 가장 많이 사용
> 장점 : 물량 흐름이 좋고(선입선출법보다 ↑), 수익, 비용의 대응이 적절하다(후입선출법보다 ↑).
- 예시(제품 15개를 @20에 매출 = 매출총이익 = 20 * 15)
> 기말재고자산 : 255 + 180 = 405
> 매출총이익 : 300 - 175 = 125
> 기말재고자산 : 100 + 75 + 180 = 355
> 매출총이익 : 300 - 225 = 75
> 기말재고자산 : 379.5
> 매출총이익 : 300 - 199.5 = 100.5
> 기말재고자산 : 362.5
> 매출총이익 : 300 - 217.5 = 82.5
-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 당기순이익, 기말재고자산 : FIFO>이동평균≥총평균>LIFO 순으로 크다.
> 매출원가 : LIFO>총평균≥이동평균>FIFO 순으로 크다.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
> 당기순이익, 기말재고자산 : LIFO>총평균≥이동평균>FIFO 순으로 크다.
> 매출원가 : FIFO>이동평균≥총평균>LIFO 순으로 크다.
- (기초상품재고액 + 총 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 매출원가↓↑
이익↑↓(매출원가가 낮아지면 이익이 증가)
자본↑↓(매출원가가 낮아지면 자본이 증가)
- 평가손실 : 장부의 재고자산 단가와 실제의 재고자산 단가의 차이(실제단가<장부단가)
- 평가손실 * 실제수량(장부수량) = 재고자산 평가손실(영업외비용) : 실제수량≠장부수량일 경우 실제수량으로 계산
- 재고자산 평가손실은 매출원가에 포함
- 재고자산 평가이익(실제단가>장부단가)은 발생 X : 재고자산은 저가주의 원칙을 따르기 때문에 가격이 내려갔을 때만 평가
'전산세무회계 > 6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5] 무형자산 (0) | 2018.06.26 |
---|---|
[6/14~6/15] 유형자산 (0) | 2018.06.26 |
[6/7] 어음에 관한 회계처리 (0) | 2018.06.10 |
[6/7] 외환차익, 외환차손 (0) | 2018.06.10 |
[6/7] 매출할인, 매입할인 (0) | 201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