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1] 재무상태표 기초 정리 재무상태표- 기업의 일정 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표(약자 B/S)- 작성한 날의 재무상태를 나타냄- 1/1의 재무상태표 : 기초 재무상태표- 12/31의 재무상태표 : 기말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의 차변과 대변의 금액은 항상 동일해야 한다. 재산법- 기말자본 -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기초자본 - 기말자본 = 당기순손실- 기말자본이 크면 당기순이익, 기초자본이 크면 당기순손실- 예시 >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 기말자본 - 기초자본 = 30 - 20 = 10
[5/31] 거래 기초 정리 (회계상의)거래-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 변화를 가져오는 원인 -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이 없을 경우 거래 X > 주문, 계약, 약속 만은 회계상의 거래 X > 주문, 계약, 약속 시 계약금을 지불하게되면 회계상의 거래 O- 거래의 8요소 > 비용이 발생하면 자본의 감소를 가져오기 때문에 차변 > 수익이 발생하면 자본의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에 대변 - 거래가 되기 위해서는 차변요소와 대변요소가 모두 나타나야 한다. - 분개 : 거래를 차변과 대변으로 분리하는 것 - 분개 시 차변의 금액과 대변의 금액이 항상 동일해야 한다. - 거래에서 보여지는 항목이 자산, 자본, 부채, 수익, 비용 중 어디에 속하는지는 항목의 계정과목에 따라 정해진다. > 상품 5만원 구매 : 상품이므로 "자산"의 증가에 해당..
[5/30] 비용 기초 정리 비용- 자본의 감소를 가져오는 원인 - 비용이 커지면 → 이익이 줄어들고(이익 잉여금 감소) → 자본이 감소 - 수수료 비용은 판관비, 영업외비용 모두 존재 > 제품 대금을 카드결제로 받아서 수수료가 존재할 경우 : 판관비에 해당 > 타 업체와 연결했을 때 수수료가 존재할 경우 : 영업외비용에 해당 - 취득세와 등록세는 원가에 포함(세금과공과 해당 X) - 자산 매출 시 발생하는 운임에 대해서는 운반비라는 비용의 계정과목을 사용, 재고자산 매입 시 발생하는 운임은 원가에 포함 비용의 계정과목- 본사(8**)와 공장(5**)은 코드 앞자리로 구별- 해당 색은 4대 보험 1. 판매비와 일반관리비(=영업비용) : 판관비 ① 임차료 : 월세 지급, 렌탈비(리스료 등) 지급, ... ② 수수료 비용 : 수수료를 ..
[5/30] 수익 기초 정리 수익- 자본의 증가를 가져오는 원인 - 수익이 많아지면 → 이익이 많아지고(이익 잉여금 증가) → 자본이 증가 - 수익과 이익은 구별해야 한다.> 판매 원가(=수익) - 매출 원가 = 이익 - 매출과 영업외수익은 사업 내용에 따라 다르다.(본업일 경우 매출액, 본업이 아닐 경우 영업외수익) > 건물주가 받는 월세 - 매출액(본업이기 때문에) / 기업이 받는 월세 - 임대료(본업이 아니기 때문에) > 은행이 받는 이자 - 매출액(본업이기 때문에) / 기업이 받는 이자 - 이자수익(본업이 아니기 때문에) 수익의 계정과목 1. 영업수익(=매출액) : 상품매출(코드 401), 제품매출(코드 404), ... - "영업수익"보다는 "매출액" 혹은 "매출"이라는 단어로 많이 사용 2. 영업외수익 : 영업활동과 관계..
[5/30] 자본 기초 정리 자본- 기업의 자산 총액에서 부채 총액을 차감한 순수한 재산(=순자산)- 자본등식 : 자본 = 자산 - 부채 자본의 계정과목1. 자본금- 법정자본금은 발행주식 총 수 * 1주당 액면가액(인쇄되어 있는 가격)2. 자본 잉여금3. 자본 조정4. 기타 포괄 손익 누계액5. 이익 잉여금
[5/30] 부채 기초 정리 부채- 미래에 갚아야 할 의무(채무) -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받을 어음, 지급어음, 미수금, 미지급금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 자동차회사 A, 기업 B, 중고차셀러 C B가 차량운반구가 필요하여 A에서 승용차를 한 대 구매한다. 이 때, 3개월 할부로 구입했을 경우 A의 기준으로는 제품을 팔고 외상(할부)으로 받은 것이기 때문에 외상매출금 B의 기준으로는 상품이나 원재료가 아닌 것(차량운반구)을 사고 외상으로 지급했기 때문에 미지급금 B가 C에게 차량운반구를 판매하고 3개월 할부로 받을 경우 B의 기준으로는 상품이나 제품이 아닌 것(차량운반구)을 팔았기 때문에 미수금 C의 기준으로는 상품을 샀기 때문에 외상매입금 선급금이 자산이고 선수금이 부채인 이유 - 선수금은 내가 돈을 받는 것이므로 자산에..
[5/29~5/30] 자산 기초 정리 자산-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화와 채권 - 재화 : 돈의 가치가 있는 것 - 채권 : 받을 수 있는 권리 - 자산에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이 있음(유동성이 큰 순으로 나열) - 유동자산 : 단기자산(1년 이내) > 당좌자산 > 재고자산 - 비유동자산(고정자산) : 장기자산(1년 이후) > 투자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기타비유동자산 자산의 계정과목(계정과목 = 사람으로 치면 "이름") 1. 현금(코드 101) : 한국 은행에서 발행하는 지폐, 주화 + 통화대용증권(회계상에서 현금으로 친다.) ① 자기앞 수표 ② 가계 수표 ③ 송금 수표 ④ 우편환증서 ⑤ 배당금 영수증(주식 배당) ⑥ 동점 발행 당좌 수표(타인 발행 수표) 위의 6가지는 재무제표(전표) 작성 시 "현금"으로 작성한다. 2. 예금에..
[5/29] 회계기간 회계기간- 회계기간은 1년 기준(1년 초과 금지, 어떤 기업도 예외 없음)- 당기의 기말자료 = 차기의 기초자료- 당기의 기초자료 = 전기의 기말자료 - 기업은 회계기간 종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법인세 신고를 완료하여야 함 (12월말 법인일 경우 3/31까지, 3월말 법인일 경우 6/30까지) 미완료 시 가산세를 납부하여야 함- 이월 : "넘긴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