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득자
- 사업자등록증 유 사업자
- 사업자등록증 무 사업자(특정업종만 가능)
- 3.3% 사업소득자의 대부분이 사업자등록증 무 사업자
> 3% : 소득세
> 0.3% : 지방소득세
원천세 신고 순서
1. 사업소득자 등록
2. 사업소득자료 입력
- 정규직/일용직 급여자료 입력과는 달리 지급일자를 입력해도 해당 월의 귀속 직원이 뜨지 않음
> f2를 눌러서 인건비를 지급할 사업소득자를 선택하고 지급일자와 급여를 입력해야 함
- 입사년월일 입력칸이 X
3. 원천세 신고서 작성
원천세 신고 tip
- 특정업종(소득구분 코드)만 3.3% 신고 가능
> "사업소득자 등록" 단계에서 소득구분에 코드 입력
- 일용직과 3.3%의 차이 : 고용, 산재 보험료 부과 여부
> 일용직은 고용, 산재 적용
> 3.3%은 고용, 산재 적용 X
- 내 신고서의 첫 결재자는 "나"
> 총 인원, 총 급여, 소득세가 일치하는지 확인
'세무회계나라 > 세무실무기초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 신고하기] 기초 (0) | 2018.10.16 |
---|---|
[원천세 신고하기] 퇴직소득 (0) | 2018.10.16 |
[원천세 신고하기] 정규직 퇴사자 (0) | 2018.10.16 |
[원천세 신고하기] 일용직 (0) | 2018.10.16 |
[원천세 신고하기] 정규직 (0) | 2018.10.16 |